맥루한의 매체 이론, 대중 전달 이론 (스포츠 사회학)
1. 맥루한의 매체 이론
맥루한에 의하면 사회와 매체는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보고 특정 사회는 그 사회에서 가장 비배적인 매체 형태가 무엇이냐에 따라 성격이 특징 지워지기 때문에 매체를 이해하는 것이 곧 그 사회를 이해하는 지름길이라 주장하였다. 매체가 곧 메시지라고 생각하였던 그는 전달되는 매체의 내용보다는 전달하고 있는 매체 자체가 곧 그 사회의 진정한 메시지라 보았다. 매체를 통하여 메시지를 수용할 경우 시각, 청각 등의 총감각을 이용한 수용 방법에 의하여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매체의 영향력은 매체 자체가 지닌 정의성, 수용자의 감각 참여성, 감각 몰입성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매체의 영향력을 구분하는 데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들 수 있다.
-매체 자체가 지니고 있는 정의성의 상태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자의 수용 방법. 신문/잡지/라디오와 같은 매체들은 그 자체가 높은 정의성을 지니고 있게 때문에 이들은 매체 수용자에게 낮은 감각의 참여와 몰립을 요구하게 되는 반면, 텔레비젼/만화/영화 같은 매체들은 이와 반대로 그 자체가 낮은 정의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받아들이는 매체 수용자에게 높은 감각의 참여와 몰입을 요구하게 된다.
맥루한은 매체 그 자체의 정의성과 수용자의 감각 참여성, 감각 몰입성을 기중으로 하여 매체를 핫 매체와 쿨 매체로 구분하였다.
핫 매체
-전달되는 메시지의 내용에 관계없이 전달되는 메시지 상태가 논리적이며 사전 계획적이고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메시지로서 그 자체가 높은 정의성을 지니게 되므로 이를 수용하는 매체 수용자는 낮은 감각의 참여와 낮은 감각의 몰입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다.
-신문, 잡지, 라디오, 화동 등의 핫 매체들은 메시지의 정의성이 높게 충만되어 있으므로 수용자의 감각 참여성과 몰입성이 낮게 요구되고 논리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일시적인 전달보다는 장시간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수용하기에 적절한 매체의 형태를 핫 매체라 부른다.
쿨 매체
- 매체 자체가 낮은 정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매체 수용자들은 높은 감각의 참여와 높은 감각의 몰입을 통하여 전달되어지는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다.
- 쿨 매체는 전자 시대에 적합한 매체로서 TV, 영화와 같이 전달되어지는 메시지 상태가 즉흥적이고 일시적이며 비논리적이기 때문에 주어지는 정보 제공량은 적은 반면,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내용은 충분하게 채워져 있으므로 메시지를 수용할 때 수용자의 주관이 개입하기에 적당하고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 효과가 크다.
- 쿨 매체는 전달되는 메시지 형태가 일정한 방향을 이루기보다는 분산되고 확산되어 복잡한 형태로 전달되므로 이러한 매체를 접하는 수용자는 모든 감각을 집중시켜 받아들여야 만족스럽고 충족한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 쿨 매체에는 TV, 비디오, 만화, 영화 등이 포함된다.
쿨미디어와 핫미디어(세 번째 이야기 스포츠사회학, 이창섭&남상우)
맥루한은 미디어를 쿨과 핫의 문법으로 나눈 바 있다. 쿨미디어는 낮은 정의성과 높은 참여성의 특징을, 핫미디어는 높은 정의성과 낮은 참여성의 특징을 갖는다.
정의성이란 어떤 메시지의 정보가 분명한 정도를 의미하고, 참여성이란 어떤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그 뜻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노력 투입의 정도를 뜻한다. 이 두 개념은 반비례하는데, 어떤 메시지의 부족한 정의성을 자신의 참여성으로 수용자가 채우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야구는 핫미디어다. 축구는 반대로 쿨미디어다. 왜 그럴까? 축구는 야구에 비해 정밀한 스포츠가 아니다. 때문에 참가자들은 그 부족한 정의성을 채우고자 시종일관 선수들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참여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야구는 매우 정밀한 스포츠다. 때문에 관중의 참여성은 상대적으로 낮다. 축구가 이처럼 참여성이 높다는 사실이 야구에는 없는 축구의 훌리건을 설명해 준다.
2. 대중 전달 이론
1) 개인차 이론
개인차 이론은 대중매체가 관람자의 퍼스널리티 특성에 호소하는 메시지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즉,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대중매체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카츠, 구레비치는 대중매체가 해결해 주는 욕구로 다음 4가지를 들었다.
- 인지적 욕구 (보다 많은 정보, 지식 및 이해)
- 정의적 욕구 (심미적, 감정적 경험)
- 도피적 욕구 (규범적인 사회 역할로부터의 긴장 완화 및 도피)
- 통합적 욕구 (진실성, 신뢰성, 지위, 가족 및 친구들과의 접촉)
스포츠의 경우에 있어서 비렐과 로이는 대중매체가 다음의 4가지 결과를 가져다준다고 주장하였다.
- 인지적 욕구인 정보의 기능에 있어 대중매체는 게임의 과정에 대한 지식, 게임의 결과에 대한 지식, 그리고 경기자의 팀에 대한 통계적 지식을 제공해 준다.
- 각성 또는 정의적 기능에 있어 대중매체는 흥미와 흥분을 제공해 준다.
- 도피적 기능에 있어 대중매체는 불안, 초조, 욕구불만, 좌절 등의 감적을 정화해 준다.
- 통합적 기능에 있어 대중매체는 사회 집단과 친화하게 하고 다른 관중과 사회적 경험을 공유하게 한다.
욕구에 따른 효과적 매체
- 인지적 욕구는 신문과 잡지에 의해 가장 잘 충족되며, 그다음으로 TV와 라디오라고 설명하고 있다.
- 정의적 욕구는 작접적 참가와 TV를 통해 가장 잘 충족된다.
- 도피적 욕구는 모든 형태의 대중매체의 의해 충족되지만 특히 TV의 경우에서 두드러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 통합적 욕구는 하나의 사건에 참여함으로써 가장 잘 충족되고 그다음으로 TV, 라디오, 신문의 수이다.
'스포츠 관련 공부 > 스포츠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와 사회계층 (스포츠와 사회문제) (0) | 2023.04.21 |
---|---|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관계(스포츠 사회학) (0) | 2023.04.21 |
스포츠와 대중매체 미디어 (0) | 2023.04.21 |
프로스포츠와 현대사회(스포츠 사회학) (0) | 2023.04.21 |
상업주의와 스포츠의 변화2(스포츠 사회학) (0) | 2023.04.21 |
댓글